새소식

반응형
30점 만들기

3쿠션 당구 밀림 현상, 두께에 따라 왜 달라질까?

  • -
반응형

🎱 당구 3쿠션을 치다 보면, 같은 회전으로 쳤는데 공이 때로는 짧게, 때로는 길게 빠지는 경험 있으셨죠?


이런 차이는 바로 ‘밀림 현상’과 당구공의 두께에서 시작됩니다. 오늘은 두께별로 큐볼이 어떻게 밀리는지, 그리고 그로 인해 궤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쉽게 설명드릴게요.


✅ 두께란?

 

당구에서 말하는 ‘두께’는 큐볼(내공)이 상대 공을 얼마나 두껍게 맞추느냐를 말합니다.
전체 공의 단면을 8등분했다고 가정하면,

  • 1/8 두께: 거의 스치듯 얇게
  • 4/8 두께: 볼의 절반으로 큐선 중심이이 1적구의 끝에 걸려있는 상태
  • 7/8 두께: 거의 꽉 찬 두께로 정통으로 맞추는 것

이렇게 이해하시면 돼요.


✅ 밀림 현상이란?

 

밀림은 큐볼에 상단 회전이 걸려 있을 때, 두꺼운 두께로 상대 공을 맞추면 회전이 그대로 전달되지 않고, 미끄러지듯 앞으로 밀리며 움직이는 현상이에요.


✅ 두께별 밀림 변화

  

 

두께 범위밀림 정도특징
1/8 ~ 2/8 이하 거의 없음 회전 전달이 거의 없고 미끄러짐 위주
3/8 ~ 4/8 서서히 시작됨 슬립이 생기며 회전이 조금씩 전달
5/8 이상 강하게 발생 회전 + 전진력이 강하게 작용
7/8 이상 완전한 밀림 궤적이 길어짐, 회전이 상대 공에 강하게 전달됨

즉, 5/8 이상이 되면 회전력과 전진력이 강하게 작용하면서 확실한 밀림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예상보다 길게 빠지는 궤적이 만들어지죠. 사실 5/8 두께 이상의 밀림은 예측하고 구사를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3/8 두께와 4/8 두께를 칠때도 밀림이 발생합니다.

 

이때 밀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트록을 롱팔로우 및 스피드를 줘서 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들거나, 타격을 줘서 분리각을 만들어주기도 하는것입니다. 그래서 2/8 두께 이하로 각대로 구사하는경우에는 미스가 많이 발생하지 않지만, 평범하다고 생각하는 3/8 두께부터 구사시 밀림에 의하여 길게 빠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합니다. 이부분을 모르면 당구가 늘기 힘듭니다. 대부분 8/5두께부터 밀림현상을 생각하시는데, 3/8 두께부터 밀림이 발생하게 됩니다.

 

간단한 예시를 하나 보게 되면 아래의 경우 45도 각도에서 일자로 가는 각은 4/8두께로 알고계신분들이 많습니다.

아래의 경우 일직선으로 보내려면 스피드를 많이 주거나, 당점을 상단이 아닌 중단으로 낮춰야 일자형태로 진행이 가능합니다.

 

 

이와같은 형태에서 45도 기울기에서 빨간공의 절반을 상단당점으로만 구사하면 코너로 간다. 밀림이 단축기준 1칸 장축기준 2칸이 발생하게 됨. 이런 경우 두께를 2/8, 3/8, 4/8 두께 모두 코너 근처로 갈수 있음

 

각대로 정확하게 구사를 해야하는 경우에는 당점을 낮추거나, 스피드를 올리거나, 업샷형태의 스트록을 사용하는등 다양한 방법으로 밀림현상을 억제할수 있습니다. 

 

오히려 각이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밀림현상을 일부러 사용하기도 합니다. 


✅ 실전 팁

 

  • 얇게 맞출수록 짧게 빠짐, 밀림이 없기 때문
  • 두껍게 맞을수록 길게 빠짐, 밀림이 발생하기 때문
  • 회전량 + 두께를 항상 같이 고려해서 샷을 계획해야 함

✅ 마무리

 

당구는 과학입니다. 큐볼의 회전과 두께, 그리고 그에 따라 발생하는 밀림 현상을 이해하면 3쿠션의 정확도와 득점률이 눈에 띄게 올라갑니다.
실전에서도 이 이론을 꼭 기억해보세요!

반응형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